멸종위기 야생생물 발견제보
생물분류
서식지유형
행정구역
관찰시각
게시시각
관찰 생물종382 관찰기록13027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성조 1, 유조 3
오늘 일몰 무렵 어두워지기 시작하고 관찰을 시작하여 추후 커플이던 다른 성조 하나와 부화된 유조 하나가 더 있는지 찾아볼 필요 있음.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거리는 멀지만 붉은어깨도요인 것 같다.
(사진 1에 무리 지어 있는 것과, 사진 2의 중앙)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큰 무리를 이루어 통과하는 흔한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중순에 도래해 5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중순(드물게 11월 초)까지 관찰된다.
갯벌, 해안의 모래펄, 하구에 서식한다.
항상 무리를 이루어 행동하며 단독으로 생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갯지렁이, 조개류, 갑각류 등을 먹는다.
부리가 머리길이보다 길다.
몸윗면은 흑갈색이며 어깨에 적갈색 무늬가 있지만 먼 거리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가슴에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어 어둡게 보인다.
날 때 흰색 허리가 보인다.
> 겨울깃
몸윗면은 회색이며 가슴과 옆구리에 검은 무늬가 뚜렷하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자료목록에 취약종(VU)으로 분류된 국제보호조다.
전 세계 집단은 380,000개체로 추정된다.
서해 지역에서의 갯벌 매립 등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도요류를 본 경험이 적어서 겨울깃과 여름깃을 하고 있는 모습이 서로 다른 새인 것 같다...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유라시아대륙 북부, 알래스카 서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흔한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초순부터 5월 중순까지, 가을에는 8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 통과한다.
도요류 중 대형이다. 부리와 다리가 길다.
부리는 위로 굽었으며, 기부 쪽으로 분홍색이다.
날 때 허리와 아랫날개덮깃에 흑갈색 줄무늬가 보인다.
> 겨울깃
몸윗면은 엷은 회갈색이며, 깃 중앙에 흑갈색 줄무늬가 있다.
몸아랫면은 회백색이며 목과 가슴에 흑갈색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도요새들을 보고 있는데 제비갈매기 종류 두 마리가 날아와 앉았다가 금세 날아간다.
사진으로 검색해 보니 '쇠제비갈매기'인 것 같다.
(※ 오동정이면 알려주세요~)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의 온대 및 열대지역,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번식하고, 번식 후에는 번식지 남쪽 또는 인근 아열대 및 열대지역으로 이동한다.
국내에서는 국지적으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4월 초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9월 초순까지 관찰된다.
한국을 찾는 제비갈매기류 중 가장 작다.
날개는 제비와 같이 폭이 좁고 길다.
몸윗면은 흐린 회색이며 몸아랫면은 흰색이다.
허리는 등과 같은 흐린 회색, 부리는 노란색이며 끝이 검은색이다.
이마는 흰색이며 머리는 검은색, 다리는 엷은 주황색이다.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큰뒷부리도요가 개꿩, 민물도요와 함께 날고 있다.
무언가에 놀랐는지 함께 날아 올라 가까운 바다 위를 한 바퀴 선회 후 다시 갯벌에 내려앉고는 했다.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걸매리 갯벌에서 먹이활동 중인 알락꼬리마도요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시베리아 동북부, 중국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필리핀,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제적으로 희귀한 종이지만 국내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3월 초순에 도래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해안 백사장, 갯벌, 하구, 물 고인 논, 풀밭에서 생활한다.
주로 게를 먹으며 갑각류와 갯지렁이도 즐겨먹는다.
부리가 매우 길어 머리 길이의 3배 정도이며 아래로 굽었다(암컷이 수컷보다 길다).
배는 엷은 갈색 바탕에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아래꼬리덮깃에도 줄무늬가 약하게 있다.
날 때 등과 허리는 적갈색을 띠는 회갈색이며, 날개아랫면은 흑갈색 줄무늬가 조밀하게 흩어져 있어 어둡게 보인다.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걸매리 갯벌에서 만난 알락꼬리마도요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시베리아 동북부, 중국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필리핀,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제적으로 희귀한 종이지만 국내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3월 초순에 도래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해안 백사장, 갯벌, 하구, 물 고인 논, 풀밭에서 생활한다.
주로 게를 먹으며 갑각류와 갯지렁이도 즐겨먹는다.
부리가 매우 길어 머리 길이의 3배 정도이며 아래로 굽었다(암컷이 수컷보다 길다).
배는 엷은 갈색 바탕에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아래꼬리덮깃에도 줄무늬가 약하게 있다.
날 때 등과 허리는 적갈색을 띠는 회갈색이며, 날개아랫면은 흑갈색 줄무늬가 조밀하게 흩어져 있어 어둡게 보인다.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발견 당시 배를 위로 한 상태로 누워있었음.
유리창 충돌 의심으로 상자에 넣어 상태 확인 및 보관.
3시간 후에 날갯짓은 가능했으나, 뇌진탕의 증상이 보여
야생동물구조센터 인계.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어제 빗속에 알을 품지 않고 있는 장면만 봐서 걱정했는데 오늘 관찰 초기 30분 정도 알만 보이고 부모새가 보이지 않아 훑어보던 중 소리 내어 신호를 주고받는듯 하며 둘이 나타나 하나는 포란, 하나는 주변 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