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링

동양달팽이

Donghoon Shin

2019년 8월 12일 오후 6:20

껍질 색깔변화가 많이 있는 종이라서 같은 종으로 일단 분류하였습니다~~ 산 속의 그늘진 곳에 서식하는데, 바위나 낙엽이 많거나 돌 무더기가 있는 곳에서 볼 수 있다. 죽어서 오래된 껍데기는 탈색으로 인해 회백색이 된다. 한국의 육산 달팽이 중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워 개체수가 많지 않아도 대표종으로 꼽히며 지리적 변이가 있다. 거문도·제주도·홍도·내장산·속리산 등지에 분포한다. 충무띠달팽이(1, 2~3번 색깔변이종) 내장산띠달팽이(4~5번)

관찰정보

  • 위치
    서식처 보호 정책에 따라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습니다.
  • 고도
    해발 1101m
  • 날씨
    흐림 | 기온 25.2℃ | 강수량 0mm | 습도 100% | 풍속 6.2m/s
  • 관찰시각
    2019년 8월 12일 오후 4시

생태정보

  • 분류체계
    동물계 Animalia > 연체동물문 Mollusca > 복족강 Gastropoda > 병안목 Stylommatophora > 달팽이과 Bradybaenidae > 동양달팽이속 Nesiohelix
취약(VU) 국가생물적색목록(2022)
관련 이미지
플리커에서 더 보기

유사관찰

주변관찰

서식처 보호 정책에 따라 주변관찰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 관찰이 속한 미션

0
@ |
    네이처링을 앱으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