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링

독수리

이성훈(만경강생태)

2019년 5월 22일 오후 7:17

우리가 흔히 동물원에 가서 보는 '대머리수리'는 '독수리'라는 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머리수리'는 틀린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겠지만 독수리와 대머리수리는 같은 말이다. 즉 대머리수리 = 독수리인 것이다. ​ 독수리의 '독'은 한자로 '禿'(대머리독)을 뜻하기 때문에 한자 그대로 풀어쓰면 대머리수리다. ​ 이 대머리수리는 다른 수리류들과 달리 속도와 방향전환이 느려 사냥을 하지 못하고 죽어있는 사체를 찾아 먹는다. ​ 몽골과 티베트고원일대 넓은 초원에 서식하고 번식하는 독수리는 추운겨울이 찾아오면 중국남쪽과 우리나라로 도래하는 겨울철새이다. ​ 우리나라에선 독수리에게 먹이를 주는 강원도 철원 토교저수지, 경기도 파주일대, 경남 고성, 산청, 김해, 전남 순천만일대가 주 월동지 ​ 만경강의 경우 주기적으로 독수리에게 동물사체와 같은 먹이를 주지 않기 때문에 탐조하기가 매우 어렵다. 기껏해야 새만금일대 하구쪽에서 이동중인 독수리 몇마리 겨우 보는 것이 대다수이지만 ​ 올해 만경강 중류일대 전주 도도동 ~ 익산 춘포주변에서 독수리 3~4마리가 빈번하게 보인다. 처음에는 잠시 거쳐가는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몇주째 계속 같은 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아 겨울이 지나고 떠나기 전 잠시 이곳에 쉬며 거처를 마련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그동안 날아가는 모습만 보았지만 오늘 전봇대 위에 앉아있는 모습을 처음 포착했다. ​ 촬영 : 만경강 중류권 익산 춘포일대 (19.2.1)

관찰정보

  • 위치
    서식처 보호 정책에 따라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습니다.
  • 고도
    정보가 없습니다.
  • 날씨
    흐림 | 기온 0℃ | 강수량 0mm | 습도 0% | 풍속 0m/s
  • 관찰시각
    2019년 2월 2일 오후 12시

생태정보

  • 분류체계
    동물계 Animalia > 척삭동물문 Chordata > 조강 Aves > 매목 Falconiformes > 수리과 Accipitridae > 독수리속 Aegypius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준위협(NT) 국가생물적색목록(2019), 준위협(NT) IUCN적색목록3.1(2021)
관련 이미지
플리커에서 더 보기

유사관찰

주변관찰

서식처 보호 정책에 따라 주변관찰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 관찰이 속한 미션


    이 관찰이 속한 미션이 없습니다.
0
@ |
    네이처링을 앱으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