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도요
포천 국립수목원에서 처음 만난 청도요. 워낙 주변과 잘 어울리고 눈에 잘 안 띄어서, 잠시 눈을 뗐다가 다시 찾으려고 해도 헷갈릴 때가 있다... 긴 부리를 개울 바닥에 찔러 넣으며 먹이활동을 하는데, 박자를 타듯이 몸을 계속 위 아래로 흔들고 있다. 영어 이름이 'Solitary Snipe', 직역하면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 도요새' 정도 되겠다~^^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시베리아 남부 및 동남부, 중앙아시아, 몽골 북부, 중국 동북부, 캄차카반도 산악지역에서 번식하고, 히말라야, 인도 북부, 미얀마, 아무르, 사할린, 한국, 일본,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한다. 국내에서는 매우 드문 나그네새이며, 매우 드문 겨울철새다. 10월 초순에 도래해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크고 작은 돌과 나뭇잎이 깔린 수심이 얕은 산간계류에서 먹이를 찾아 조용히 움직인다. 깃털 색이 낙엽과 비슷해 찾기 매우 힘들다. 낙엽과 비슷한 위장색이어서 좀처럼 발견되지 않는 특성을 감안하면 현재까지 알려진 몇 안 되는 서식지와 달리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수가 월동할 가능성이 높다. 월동 개체수 및 월동지에 대한 조사자료가 빈약하다. 경기 광릉, 양평, 수원 용주사, 성남 남한산성, 구리 왕숙천, 양수리, 화성, 과천 동물원 하천, 강원 원주, 영월 옥동천, 전북 고창, 전남 화순 동복천 등지에서 월동기록이 있다.
관찰정보
-
위치경기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
-
고도해발 101m
-
날씨맑음 | 기온 3℃ | 강수량 0mm | 습도 34% | 풍속 14.2m/s
-
관찰시각2025년 2월 13일 오후 1시
생태정보
-
분류체계동물계 Animalia > 척삭동물문 Chordata > 조강 Aves > 도요목 Charadriiformes > 도요과 Scolopacidae > 꺅도요속 Gallinago
유사관찰
주변관찰
이 관찰이 속한 미션
이 관찰이 속한 미션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