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링

노랑배진박새

찬혁 아빠

2025년 2월 5일 오후 9:20

현충사를 둘러보다가 처음 만난 노랑배진박새. 이 친구는 수컷인 것 같다.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중국 허베이성 동북부에서 서쪽으로 깐수성, 남쪽으로 윈난성, 동쪽으로 안후이성에 분포하는 텃새다. 국내에서는 2005년 10월 22일 인천 옹진 소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 관찰된 이후 거의 매년 관찰되고 있으며 개체수도 증가하고 있다. 번식기인 6~7월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관찰되었다. (★ [한국의 새] 조류도감에는 드문 겨울철새 또는 드문 나그네새라고 나와 있다.) 소형이며 꼬리가 짧다. 몸 아랫면이 노란색이어서 진박새 어린새와 혼동하기 쉽다. 흰색 날개선 2열이 뚜렷하다. 날개깃에 녹황색 기운이 스며있다. 날 때 보이는 몸 바깥쪽 꼬리 기부가 흰색이지만 매우 빨리 움직여 확인하기 어렵다. > 수컷 머리와 얼굴은 진박새와 매우 비슷하다. 몸윗면은 청회색과 검은색이 섞여 있다. 셋째날개깃 끝이 흰색이다. 겨울에는 멱 중앙 부분이 노란색으로 바뀐다. > 암컷 머리는 청회색이며, 눈 위로 작은 연한 반점이 있으며, 등과 어깨는 녹갈색이다. 뒷목에 작은 흰 반점이 있다. 멱은 때 묻은 듯한 흰색이며, 회흑색 턱선이 있다. > 어린새 성조 암컷과 비슷하다. 턱선이 불명확하게 보인다.

관찰정보

  • 위치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도로명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48
  • 고도
    해발 72m
  • 날씨
    구름 | 기온 -4℃ | 강수량 0mm | 습도 41% | 풍속 3.4m/s
  • 관찰시각
    2025년 2월 5일 오후 2시

생태정보

  • 분류체계
    동물계 Animalia > 척삭동물문 Chordata > 조강 Aves > 참새목 Passeriformes > 박새과 Paridae > 박새속 Parus
관심대상(LC) IUCN적색목록3.1(2016),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관련 이미지
플리커에서 더 보기

유사관찰

주변관찰

이 관찰이 속한 미션


    이 관찰이 속한 미션이 없습니다.
1
@ |
    네이처링을 앱으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