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까치
Cyanopica cyanus
BETA
정문에서 연구강의동으로 가는 길에 물까치 소리를 들었다. 까마귀과라 그런지 경계음이 짧고 두껍게 들린다. 새의 종에 따라, 상황에 따라 지저귀는 소리가 다른데 발성기관의 구조와 발성방식이 어떻게 소리에 차이를 만드는지 궁금하다. 비슷한 소리를 내는 새들은 발성기관의 구조가 유사해서일까? 혹은 생태적 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일까? 어치가 물까치의 울음소리를 따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관찰정보
생태정보
-
분류체계동물계 Animalia > 척삭동물문 Chordata > 조강 Aves > 참새목 Passeriformes > 까마귀과 Corvidae > 물까치속 Cyanopica
관심대상(LC) IUCN적색목록3.1(2017)